본문 바로가기
일상

벼 충해 발생환경 증상 방제

by 예의염치 2022. 9. 4.
728x90
SMALL

현재 잦은 호우, 폭염 등 이상기후로 벼 생육 환경이 나빠지고 병충해마저 확산되고 있습니다. 고온다습한 날씨는 다양한 충해를 발생시킵니다.

 

농진청은 멸구류, 이화명나방, 혹명나방, 먹노린재 등 충해의 방제를 통해 품질 좋은 벼 생산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먹노린재

친환경재배지를 중심으로 발생 시군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작은 충격이나 소리에도 줄기 속이나 물속으로 숨어 방제가 어렵기 때문에 논물을 빼고 해 질 무렵 적용약제를 살포합니다.

 

멸구

벼멸구, 흰등멸구는 초기 방제가 중요하므로 멸구가 날아온 지역에서는 볏대 아래쪽을 잘 살펴보아 발생이 많으면 적용약제로 방제합니다.

 

혹명나방

논을 살펴보고 포장에 피해 잎이 1~2개 정도 보이거나 벼 잎이 세로로 말리는 유충 피해 증상이 보이면 적용약제를 살포합니다.

 

728x90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