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조경관리

by 예의염치 2021. 1. 11.
728x90
SMALL

조경관리


 

2021년 정기 기능사 1회 필기의 접수가 2021.1.12(화)~1.15(금)입니다. 조경기능사 책을 한번 다 읽어보지도 못하고 시험을 치게 될까 걱정입니다. 하지만 걱정하고 있을 바에 책의 내용을 한 장이라도 더 보는 것이 낫겠죠? ㅎㅎ 오늘은 조경관리부터 쭈욱 달려봅니다. 

 


 

조경관리는 조경이 이루어진 공간의 모든 시설과 식물이 설계자의 설계의도에 따라 운영되고 이용하는 사람들이 요구하는 기능을 항상 유지하면서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조경관리의 범위는 운영관리, 유지관리, 이용관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일반 주택정원부터 국립 자연공원까지 조경공간에 형성되는 모든 조경시설물과 자연물이 대상이 됩니다. 개인정원, 학교 정원, 자연공원, 도시공원, 공공건물, 도로, 철도, 공업단지의 시설 내 조경공간도 대상이 됩니다. 화훼단지는 조경관리의 대상 공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이 의외네요. 

 

 

주택은 개인생활의 확보와 최상의 주거조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공동주택단지는 개인생활의 주거공간 확보보다는 공동의 휴식처로서의 뜻을 더 크게 두기 때문에 시설물, 잔디, 수목류의 보전에 중점을 둡니다. 도시공원은 국가, 지방 공공단체가 국민에게 제공하는 공원으로 도시자연공원, 묘지공원 등이 있습니다. 자연공원은 아름다운 경관과 많은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는 곳입니다. 우리나라는 22곳의 국립공원과 29개 도립공원을 지정하여 운영 중입니다.

 

 

유지관리는 조경식물과 시설물을 이용하기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점검. 보수하여 공공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잔디, 초화류, 식재 수목, 각종 시설물 및 건축물 등의 관리를 말합니다.

 

 

이용관리는 조경식물 및 시설물의 보전이라는 차원에서 이용자의 행위를 규제하여 적정한 이용이 되도록 지도. 감독합니다. 예를 들면 주민참여 유도나 안전관리, 홍보, 행사 프로그램 주도 등의 관리를 말합니다.

 

 

작업의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고 그에 따른 예산을 계획단계에서 세우며 작업계획을 수립합니다. 작업은 정기 작업, 부정기 작업, 임시 작업이 있습니다. 조경관리 방법은 관리주체가 직접 운영/관리하는 직영방식과 관리 전문 용역회사나 단체에 의뢰하는 도급방식으로 나눕니다. 

 

 

 

728x90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