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SMALL

일상127

과일 껍질은 최고의 지렁이밥 과일 껍질과 야채는 지렁이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음식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좋은 음식을 먹어야 좋은 x을 싸지 않겠습니까. 시중에 파는 분변토의 경우 지렁이에게 뭘 먹이는지 알면 사용하기 힘드실 겁니다. 우리가 줄 수 있는 지렁이가 좋아하는 음식과 싫어하는 음식에 대해 알아봅니다. 좋아하는 음식 채소류, 사과 껍질, 수박, 토마토, 야채 껍질, 버섯, 밥, 국수 등 단맛이 나는 음식을 좋아합니다. 싫어하는 음식 인스턴트식품, 염분과 고춧가루가 들어간 음식, 귤, 오렌지 등 시작은 야채 찌꺼기나 과일 껍질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음식은 잘게 썰어서 주면 빨리 먹습니다. 전문 지렁이 집사분들은 갈아서 주기도 한답니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났다면 조리된 음식이나 유제품 등을 소량씩 추가해 줍니다. 이상 .. 2022. 10. 1.
지렁이 분변토를 만들 준비 끝 지렁이 3 통과 전용 흙 2kg이 왔습니다. 얼마 전 직접 분변토를 만들겠다며 열심히 리빙박스를 뚝딱였는데 완성되는 타이밍에 집주인도 도착을 했습니다. 보통 지렁이를 구매하면 전용 흙으로 코코피트를 넣어준다던데 여긴 퇴비화된 흙을 줍니다. 뭐! 지렁이가 좋아하면 그걸로 만족합니다. 지렁이는 이제 박스 속에서 하루 종일 굴을 파면서 유기물과 흙을 먹고 거무스름한 분변토를 쌉니다. 아니 배출할 겁니다. ㅎㅎ 지렁이가 매일 싸는 똥(?)의 양은 자기 몸의 2배가 된다고 합니다. 먹는 유기물은 12~20시간동안 20%가량만 소화하고 나머지는 잘게 부수어 몸 밖으로 내보냅니다. 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지렁이 분변토에는 칼슘 등 다양한 영양소가 포함되어 있어 식물이 자라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분변토는 일반 유기.. 2022. 9. 29.
뉴컴패스 NEW COMPASS 구매 다양한 편의 장비를 추가하여 돌아온 지프 뉴 컴패스(NEW COMPASS)입니다. 지난 해 봤던 체로키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던 차에 등장한 모델이라 단번에 제 마음을 사로잡아 버렸습니다. 그런데 의외로 아내가 뉴컴패스 구매에 더 적극적입니다. 따님과 차를 구경하던 중에 벌써 계약까지 마쳤습니다. 속마음을 숨긴 채 넌지시 말을 건네 봅니다. 너무 급하게 결정하는 거 아냐? 하지만 너무 마음에 든다고 바로 답을 줍니다. 뭐! 둘 다 좋다고 생각하는데 고민할 필요는 없을 거 같습니다. 매장에 전시중인 뉴 컴패스 사진입니다. 지프하면 세븐 슬롯, 세븐 슬롯 그릴은 지프의 상징 아니겠습니까? 2022. 9. 28.
도로변 국화 포트멈 그런데 국화가 도로변 대형 화분에 심어져 있습니다. 이제 꽃이 피려는데 아침 출근길에 보는 것만으로 기부니가 좋아집니다. 관리하는 모든 구청 관계자분께 심심한 감사를 표합니다. 후훗!! 국화는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하며 품종이 다양합니다. 화분에 키울 수 있도록 줄기는 짧게 가지와 꽃송이를 늘린 국화 품종을 포트멈 pot-mum이라고 부릅니다. 위 사진의 친구도 이에 해당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국화는 가을이 되면서 기온이 낮아지고 비로소 꽃을 피우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국화는 옛부터 은둔하며 절개를 지키는 군자의 상징으로 우리 모두가 아는 사군자의 하나로 귀하게 여겼습니다. 국화는 서리를 맞아도 꺾이지 않는다. 그냥 그렇다고요! ㅎㅎㅎ 국화는 관리가 쉬워 실내뿐만아니라 실외 정원까지 다양한 곳에서 .. 2022. 9. 27.
큰다닥냉이 영채 산갓 쓰임새 언듯 보면 미나리로 보이겠지만 이 작물은 '큰다닥냉이'라는 배추과의 두해살이풀입니다. 혹은 영채라고도 불립니다. 텃밭 주인장이 영채라고 해서 그렇게 알고 있었지만 영채는 문화어로 북한에서 부르는 이름입니다. 뭐! 그냥 그렇다는 겁니다. 큰다닥냉이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가 되는 작물로 우리나라는 평안도와 함경도에서 재배하며 김치를 담가 먹는다고 합니다. 영채 김치 혹은 산갓 김치라고 부릅니다. 산갓은 산에서 절로 나서 자라는 갓 나물이란 의미입니다. 큰다닥냉이는 알싸한 맛이 나며 식감이 부드러운 편입니다. 우리나라는 영채 김치를 먹지 않았으나 탈북민이 늘어나고 중국을 다녀온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점차 알려지고 먹게 되었다고 합니다. 큰다닥냉이에 관한 자료를 제법 찾아봤지만 대동소이 합니다. 쓰임.. 2022. 9. 25.
산기슭에서 찾아 텃밭으로 옮겨심은 으름덩굴 산에서 캐 온 으름을 텃밭에 심었는데 열매가 익어 벌어진 모습은 처음 봅니다. 으름은 으름덩굴과의 낙엽성 덩굴나무입니다. 텃밭이 있는 곳에서 숲으로 조금 들어가면 작은 개울이 흐릅니다. 주변은 유기물이 많이 쌓여 딱 봐도 비옥해 보입니다. 거기에서 으름이 다른 나무를 감아 올라가면서 자라고 있었습니다. 그 친구를 캐 와서 텃밭에 심었더니 이렇게 열매까지 맺었습니다. 으름은 종자로 번식합니다. 9월 말 즈음 씨앗을 채취해서 이른 봄에 파종을 하면 다시 싹이 납니다. 으름 열매는 위 사진처럼 9~10월 경에 연갈색의 바나나 모양으로 완전히 익으면 열매 껍질이 벌어지면서 열매의 살과 종자가 보입니다. 봄에 나오는 어린 잎은 나물로 하며 가을에 영그는 열매의 과육은 식용으로 합니다. 열매가 바나나를 닮아서 코리.. 2022. 9. 25.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