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용접 기초 품질을 위한 10가지 준수 사항

by 예의염치 2021. 11. 28.
728x90
SMALL

관리자로 현장 작업장을 점검할 때 품질에 관해 10 가지 확인하는 항목이 있습니다. 용접 기초 품질에 해당하는 사항들입니다. 기초품질에 관해 늘 표준 작업을 요청하지만 어지간하게 지키지 않는 작업자와의 하염없는 줄다리기라고나 할까요.

 

제가 현장에서 체크하는 항목을 나열해봅니다. 염연히 관리자 입장에서고 QM 혹은 선주 선검이 보는 입장은 또 다를 겁니다. 하지만 기초 품질이기에 이상시 누가 봐도 지적할 내용이라 생각합니다. 

 

용접 기초품질을 위한 준수 사항

  • 정규 각목 표기 및 기명재 여부
  • 규정 용접재료 사용 여부
  • 숏비드 여부
  • 위빙 폭 준수 여부
  • 시/종단부 탭피스 사용 여부
  • 습기 제거 여부
  • 층간 슬러그 제거 여부
  • 용접 순서 준수 여부
  • 방풍막 설치 여부
  • gap 부위 용접 방법 확인

 

정규 각목 표기 및 기명재

마킹을 할 때 규정 각목을 표기하고 작업한 후 기명을 실시합니다. 판이 입고되고 배열을 하면 마킹사가 작업을 합니다. 현물에 마킹을 실시합니다. 이를 통해 취부/용접 작업자는 규정 각목을 확인하고 용접 시 부등 각장에 주의하게 됩니다. 

 

규정 용접 재료 사용

강재에 맞는 용접 재료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A~DH 등급의 강재는 DS-7100을 사용합니다. E/EH는 81-K2 용접 와이어를 씁니다. WPS를 확인하면 해당 강재에 사용 가능한 wire에 대해 친절히(?)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서로 다른 등급의 강재가 용접이 될 때는 낮은 등급의 강재를 기준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주의사항인데 잘 안 지켜집니다. 예상하시겠지만 와이어는 등급별로 가격 차이가 꽤 납니다. 솔직히 회사 입장에서 아깝습니다. 와이어도 직접 사서 써야 아낄 텐데 회사에서 사급으로 지급합니다.

 

숏 비드 금지

용접을 하다 보면 기공(blow hole)이라던지 크랙 등이 발생합니다. 이 결함 부위를 제거하기 위해 추가로 용접을 하는데 최소 50mm 이상 길이로 용접을 합니다.

 

위빙 폭 준수

철판이 두꺼우면 용접 폭이 커집니다. 당연하겠죠? 2~3회 나누어서 용접을 하면 됩니다. 위빙 폭은 최대 23mm입니다. 

 

시/종단부 탭피스 시공

BUTT 용접 시 시/종단부에 탭 피스를 시공해야 합니다. 용접을 끝나는 부위는 반드시 결함이 있습니다. 그래서 연장 용접을 합니다. 예를 들어 CO2용접은 30mm 이상, 자동 용접은 70mm 이상 연장 용접을 해줍니다. 

 

BUTT 용접의 처음과 끝 그리고 크로스 부위는 결함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UT를 찍기 때문에 반드시 연장 용접을 해야 합니다.

 

습기 제거

용접 재료는 습기와 격리를 해야 합니다. 용접재료 창고에 두고 관리를 합니다. wire는 개봉 후 24시간 내에 소진하는 것이 원칙이며 남는다면 다시 비닐에 밀봉해서 보관해야 합니다. 

 

용접재료도 흡습을 방지해야 하지만 용접부도 물기 및 습기를 제거해야 합니다. 불홀은 대부분 수분이 원인이 됩니다. 특히 옥외 공장인 경우 비가 오면 작업을 중지해야 합니다. 

 

층간 슬래그 제거

층간 슬래그는 제거해야 합니다. 용접이 1 pass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3 pass까지 가게 되면 그라인더로 smooth 사상을 해줍니다. 

 

용접 순서 준수

현물에 용접 순서를 표기해 줍니다. 작업자는 이를 준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부재가 교차될 때 Long' 선 용접 후 C.PL 취부 합니다. 이후 C.PL를 아래에서 위로 용접을 하고 BKT 여부에 따라 취부/용접을 해줍니다. 

 

방풍망 설치

바람이 풍속 2m/sec 이상 불 때 설치를 해줍니다. 바람에 의해 쉽게 결함이 발생합니다. 결함 부위는 가우징 후 그라인더를 합니다. 크렉이 발생할 경우 길이 방향으로 최소 50mm 이상, 깊이 5mm 이상 가우징으로 제거합니다.

 

갭 부위 용접 방법

BUTT 용접 시 Gap은 2~6mm 정도 띄우면 표준작업입니다. 만약 6~12mm로 Gap이 발생할 경우 다층 용접을 하고 12~16mm까지 벌어졌다면 육성 용접을 진행해서 개선을 다시 만들고 용접을 진행합니다. 

 

그러면 안 되겠지만 Gap이 16mm 이상 벌어진다면 그냥 Renew 합니다. ㅎㅎ

 

 

이상 용접 기초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10 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하나씩 살펴보면 아시겠지만 쉬운 내용입니다. 머리로는 알고 있지만 현장에서 작업을 하다 보면 잘 지켜지지 않는 항목입니다. 

 

기초 품질에 관한 사항이기에 지켜지기만 하면 결국 현장에서 작업 손실이 줄어드는 일입니다. 결국 결함이 나면 재 작업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위 10가지를 지켜가며 작업을 한다면 돈을 버는 지름길이 될 것입니다.   

 

728x90
LIST

댓글